금 통장과 금 ETF,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?
안전자산 투자에 있어 금은 여전히 강력한 선택지입니다. 그러나 금 투자 방식은 여러 가지로 나뉘며, 그중 ‘금 통장’과 ‘금 ETF’는 대표적인 두 방식입니다. 각 방법의 개설 절차부터 투자 전략, 리스크 대응까지 실전 중심으로 안내드립니다.
1. 금 통장이란? – 은행에서 시작하는 실물 기반 투자
금 통장은 은행이 제공하는 ‘골드뱅킹 서비스’입니다. 적은 금액으로도 금을 매수하고, 나중에 실물로 전환도 가능합니다.
✔ 금 통장 개설 절차 (6단계)
- 모바일 앱 실행 (하나원큐 또는 KB스타뱅킹)
- ‘골드바’ 또는 ‘골드뱅킹’ 메뉴 선택
- 본인 명의 비대면 실명인증 진행
- 골드뱅킹 전용 계좌 개설
- 희망 금액만큼 입금 시 자동 금 적립
- 앱에서 금 보유량 확인 및 매도/인출 가능
2. 금 ETF란? – 실시간 금 시세에 연동된 펀드
금 ETF는 한국거래소(KRX)에 상장된 금 연동 상품입니다.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사고팔 수 있어, 유동성과 투명성이 강점입니다.
대표 ETF 5종 비교
종목명 | 운용사 | 특징 | 장점 | 리스크 |
---|---|---|---|---|
KODEX 골드선물(H) | 삼성자산운용 | 환헤지형 | 환율 영향 최소화 | 수수료 0.48% |
TIGER 금은선물(H) | 미래에셋 | 금+은 구성 | 분산 투자 효과 | 은 비중으로 변동성↑ |
HANARO 금선물 | NH투자 | 비환헤지 | 환율 상승 시 이익 | 환 리스크 있음 |
KBSTAR KRX금현물 | KB자산운용 | 현물 기반 | 금 가격 직접 추종 | 거래량 적음 |
ARIRANG KRX금현물 | 한화자산운용 | 실물 추적 | 세금 혜택 有 | 유동성 낮음 |
3. 어떤 선택이 더 적합할까?
금 통장은 실물 금 보유를 원하는 장기 투자자에게, 금 ETF는 금 시세에 따라 단기 차익을 노리는 분에게 적합합니다. 자산 성격과 투자 습관에 따라 선택 기준이 달라집니다.
4. 금 통장 vs 금 ETF 요약
항목 | 금 통장 | 금 ETF |
---|---|---|
개설 방식 | 은행 앱 | 증권 계좌 |
거래 단위 | 0.01g | 1주 단위 |
수수료 | 약 1% | 약 0.45% |
실물 인출 | 가능 | 불가능 |
추천 대상 | 보관 목적 투자자 | 시세차익 노리는 투자자 |
5. 금 투자 시 리스크와 대응 전략
- 가격 변동 리스크: 분할매수 전략으로 변동성 완화
- 환율 영향: 헤지형 ETF 선택으로 대비
- 실물 인출 비용: 장기 보유 시 실물 전환 최소화
- 유동성 부족: 거래량 높은 ETF 위주로 선택
“금은 변하지 않는 가치를 지닌다. 그러나 변하는 건 나의 판단이다.”
📌 함께 읽으면 좋은 글
'재테크, AI·반도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국 금리가 오르면 한국 금값이 움직이는 진짜 이유 (1) | 2025.05.02 |
---|---|
처음 금 투자할 때 꼭 알아야 할 5가지 실수 방지 전략 (1) | 2025.05.02 |
2025년 금 ETF 수익률 분석 (0) | 2025.05.02 |
AI 데이터센터 이대로 가능할까? (0) | 2025.05.02 |
금테크와 관세무역전쟁 언제까지? (1) | 2025.05.01 |